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||||||
2 | 3 | 4 | 5 | 6 | 7 | 8 |
9 | 10 | 11 | 12 | 13 | 14 | 15 |
16 | 17 | 18 | 19 | 20 | 21 | 22 |
23 | 24 | 25 | 26 | 27 | 28 |
- 자바스크립트
- graphql
- 배포
- MongoDB
- 리액트
- 알림
- JavaScript
- AWS
- Notification
- 네이티브
- EC2
- github
- 후기
- Push
- NATIVE
- 네비게이션
- JS
- 레이아웃
- Background
- 디자인
- ubuntu
- Python
- scope
- 스코프
- 카카오
- 면접
- navigation
- React
- 변수
- Express
- Today
- Total
어서와, 개발은 처음이지?
[처음부터 시작하는 EC2] ubuntu mongodb 설치하기 본문
이번 글에서는 mongodb를 설치 해보도록 하겠습니다.
mongodb 공식 사이트를 참고했습니다.
1. mongodb 버전 선택
mongodb 공식 사이트에 들어가면 아래와 같은 화면을 볼 수 있습니다.
이곳에서 설치하고 싶은 버전, 사용 중인 운영체제를 선택하고 설치 방법을 따르면 됩니다.
이 글에서는 4.0 버전을 설치하도록 하겠습니다.
다른 버전도 유사하니 참고하시고 진행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.
2. mongodb 설치
설치 과정은 크게 복잡하지 않습니다.
터미널을 사용해 ec2 인스턴스에 접속하여 설치 문서를 따라 몇 가지 명령어를 입력해줍니다.
우선 아래 명령어를 사용하여 공개키를 가져옵니다.
> sudo apt-key adv --keyserver hkp://keyserver.ubuntu.com:80 --recv 9DA31620334BD75D9DCB49F368818C72E52529D4
다음은 mongodb list 파일을 생성합니다.
> echo "deb [ arch=amd64 ] https://repo.mongodb.org/apt/ubuntu bionic/mongodb-org/4.0 multiverse" | sudo tee /etc/apt/sources.list.d/mongodb-org-4.0.list
그리고 로컬 패키지 데이터베이스를 리로드합니다.
> sudo apt-get update
다음으로 아래 이미지처럼 두 가지 선택지가 나오는데, 왼쪽 선택지의 명령을 따르면 항상 최신 버전의 mongodb가 설치됩니다.
우리는 특정 버전(4.0.x)을 설치할 것이기 때문에 오른쪽 선택지의 명령을 따릅니다.
> sudo apt-get install -y mongodb-org=4.0.5 mongodb-org-server=4.0.5 mongodb-org-shell=4.0.5 mongodb-org-mongos=4.0.5 mongodb-org-tools=4.0.5
마지막으로 의도하지 않은 버전 업그레이드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아래 명령을 사용하여 패키지 버전을 고정합니다.
> echo "mongodb-org hold" | sudo dpkg --set-selections > echo "mongodb-org-server hold" | sudo dpkg --set-selections > echo "mongodb-org-shell hold" | sudo dpkg --set-selections > echo "mongodb-org-mongos hold" | sudo dpkg --set-selections > echo "mongodb-org-tools hold" | sudo dpkg --set-selections
3. mongodb service 등록(선택)
위 과정을 따라 설치가 완료되면 /lib/systemd/system/mongod.service가 생성되어, sudo service mongod start 명령을 사용하여 mongodb 데몬을 실행할 수 있습니다.
하지만 특정 환경에서는 이 부분을 직접 작성해줘야 하는 경우가 있다고 합니다.
Unit mongod.service could not be found.
sudo service mongod start 명령을 실행 했을때, 위와 같은 메세지가 보인다면 /etc/systemd/system/에 mongod.service 파일을 생성하도록 합니다.
> sudo vi /etc/systemd/system/mongod.service
아래 내용을 입력하고 저장합니다.
[Unit] Description=MongoDB Database Server After=network.target Documentation=https://docs.mongodb.org/manual [Service] User=mongodb Group=mongodb EnvironmentFile=-/etc/default/mongod ExecStart=/usr/bin/mongod --config /etc/mongod.conf PIDFile=/var/run/mongodb/mongod.pid # file size LimitFSIZE=infinity # cpu time LimitCPU=infinity # virtual memory size LimitAS=infinity # open files LimitNOFILE=64000 # processes/threads LimitNPROC=64000 # locked memory LimitMEMLOCK=infinity # total threads (user+kernel) TasksMax=infinity TasksAccounting=false # Recommended limits for for mongod as specified in # http://docs.mongodb.org/manual/reference/ulimit/#recommended-settings [Install] WantedBy=multi-user.target
만약 다른 방법을 통해 mongodb를 설치했다면 ExecStart의 /usr/bin/mongod를 설치한 경로의 mongod로 수정해줍니다.
마지막으로 mongod를 service에 등록합니다.
> sudo systemctl enable mongod
4. mongodb 실행
mongodb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서비스 데몬이 실행되어있어야 합니다.
> sudo service mongod start
위 명령을 실행하면 mongo 명령을 사용하여 mongodb shell을 실행할 수 있습니다.
> mongo
다음 글에서는 mongodb의 외부접속 방법에 대해 작성하겠습니다.
'EC2_Ubuntu_Devop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처음부터 시작하는 EC2] nodejs 설치 (0) | 2019.02.06 |
---|---|
[처음부터 시작하는 EC2] mongodb 계정 생성, 외부 접속 (6) | 2019.02.04 |
[처음부터 시작하는 EC2] nginx와 uwsgi로 django 서비스하기 (29) | 2019.01.27 |
[처음부터 시작하는 EC2] django 프로젝트 생성 (7) | 2019.01.25 |
[처음부터 시작하는 EC2] python 설치 (0) | 2019.01.25 |